분류 전체보기
-
비구조화 할당 (Destructuring)WEB/JS 2019. 10. 7. 10:55
전에 썼던게 틀려서 다시 쓴다. const a = candymachine.a; const b = candymachine.b; 이런식으로 쓰는건 사실 귀찮고 비효율적이다. 이럴 때 쓰는게 비 구조화 할당이다. 위의 두줄을 아래처럼 한줄에 표현 가능하다. const {a,b} =candymachine 다만 this가 의도와 다르게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는데, this가 의도와 다르게 작동하는 경우는 아직 잘 모르겠으니 넘어가자. 머 this를 바꿔주는 method를 사용하면 해결된다 카더라 배열에도 비구조화 할당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원래는 이렇게 작성하던것(내가 지금까지) const array = ['node',{},10,true]; const node =array[0]; const obj = arra..
-
객체 리터럴과 화살표 함수의 이해WEB/JS 2019. 10. 6. 03:47
객체 리터럴 ES6 에서 부터는 객체의 메서드에 함수를 연결할 때 다음과 같이 더는 콜론(:)과 function 키워드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const newObject = { Hello() { console.log('helloJS'); } } 음~ 아직 많이 안써봐서 뭔지 잘 모르겠다. 그 이유는 아직 객체 안에다가 함수넣고 이런걸 많이 안해봐서 그렇다. JS문법강좌를 대충보고 넘어간 실수다. 차차 알아가면 되지싶다. ----- 화살표 함수. 화살표함수를 내가 이해하지 못했던 것은 const add = (x,y) => { return x + y; } 라고 쳤을 때 add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잘 알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잘 이해한 듯 하다.(아님말고ㅋ) 그리고 friends = [..
-
Hook? useState() -아직도 모르겠음WEB/REACT 2019. 10. 4. 12:40
hook의 예시가 useState()라는데 나는 몬소리인지 잘 모르겠다. 아니 useState()를 이용하면 배열을 반환한다는데? 그래서 [a,b]=useState(0);해줬더니 {a}{b}값이 0만나온다. 즉 b는 undifined로 출력이 되지 않고있다는것. 강좌에서 나오는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0); 여기서도 setNumbers는 아래에서 setNumber(number + 1); 이런식으로 사용된다. setNumber은 변수인데 왜 이렇게 사용되는지도 모르겠다. setNumber()이게 함수인가? 아닌데; ---------- 음 알고보니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0); 여기서 setNumber은 함수랜다. cons..
-
구조 분해 할당WEB/REACT 2019. 10. 4. 11:52
이게 정확하게 어떤건지 확실히는 이해를 못했는데 파이썬의 딕셔너리나 php에서 키값에 대응시키는 문법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문법이라 이해했다. 전에 js엔 이런기능이 없나 했었는데 완전 같지는 않지만 비슷한 기능이 있구나 했다. let a, b, c,rest; 2 [a, b, c] = [10, 20, 30]; // a에 10, b에 20, c에 30을 할당 [a, b, c,...rest] = [10, 20, 30, 40, 50]; //...variation을 쓰면 할당하고 남은 나머지를 모두 할당해 주는듯 //그래서 console.log(rest); //를 해주면 결과가 [40,50]이다 //만약 아래와 같이 c를 빼주고 대입 해주면 [a, b, ...rest] = [10, 20, 30, 40,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