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살표 함수에서
const p = (...rest) => {
return rest;
}
p(1,2,3,4,5);를 해버리면
[1,2,3,4,5]를 반환한다.
배열에 사용되는 여러 메쏘드들을 이용할 수 있는것이었던 것이었던 것이다.
arguments 어쩌구랑 비슷하다는데 앞으로는 쓸일 없으니 알아보지 말자.
아 그리고 const에 대해서 정확히 알게 되었는데,
const를 쓰면 바꿀수없다는것에 대해서 언제는 바꿀수 있고 언제는 없고 해서 당황을 많이 했었고
그냥 let을 쓰는게 속편해서 그냥 let을 썼었다.
이번에 좀 정확히 알게되었는데,
const a ={1,2,3,4};
이런식으로 하면 {} 중괄호라는 사실만 안바뀌고 안에 1,2,3,4는 바뀔 수 있는 것이다.
아직 한 85%밖에 이해 못했으니 앞으로 공부하면서 채워나가겠다.
ㅎ~ㅎ -------
spread 문법이랑 비슷하다는데 배고프니까 나중에 알아보자
'WEB >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mise문법 +@ (0) 2019.10.10 프로미스 문법 (0) 2019.10.08 비동기와 콜백 (0) 2019.10.07 비구조화 할당 (Destructuring) (0) 2019.10.07 객체 리터럴과 화살표 함수의 이해 (0) 2019.10.06